
정부가 오는 8일부터 9인이하 아동·청소년에 한해 실내체육시설 이용을 허용한 것에 대해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피트니스 업계를 두번 죽인 꼴이다"며 눈가리고 아옹식의 전형적인 보여주기 대책이라고 질타했다.
하 의원은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유치원생이 헬스장·필라테스장에 몸짱 만들러오나?"며 이같이 말한 뒤 이는 "실효성 없는 말장난 대책이다"고 꼬집었다.
하 의원은 "정부는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에 9인 이하의 교육·돌봄 목적 아동·학생 대상으로만 영업이 가능하다고 조건을 달며, 일반인 대상 영업은 17일 이후부터 가능하도록 제한을 완화했다고 밝혔다"며 "아동 대상으로 헬스장 영업제한을 제한을 풀어준다니"라며 어이없어했다.
하 의원은 "원래부터 정부가 약속한 영업제한도 17일 까지였다"며 "17일부터 완화하기로 약속한 걸 다시 한번 언급한 수준에 지나지 않은 하나마나한 소리인데 '제재를 풀어줬다'며 생색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힘 청년문제해결사 요즘것들연구소는 지난 5일 헬스장관장연합회 김성우 대표와 Δ 샤워장 폐쇄 Δ 방역 안전 거리두기와 연계한 인원수 제한 등 자발적으로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이러한 현장 목소리가 묵살되고 말장난 대책으로 위기를 모면하는 것은 결국 국민 안전과 생계마저 모두 위험에 빠질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매번 여론의 눈치만 보고 말장난으로 오늘 하루 겨우 빠져나갔다는 요행을 바랄 게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해서 진정성있는 대책으로 국민안전과 생계를 확보하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오는 17일까지 2주 더 연장하면서 스키장·눈썰매장과 태권도·발레학원 등 일부 시설에 대해선 9명 이하 등 조건을 달고 운영을 허용, 형평성 논란을 빚었다.
이에 헬스장 업주들은 지난 4일부터 '과태료를 물어도 좋다'며 오픈 시위 등 강력 반발해 왔다. 이러한 반발이 카페 등 다른 업종에까지 번지자 정부는 자영업자 처지를 충분히 이해한다며 7일 실내체육시설 제한적 허용 등의 완화조치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