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의 87%가 구리시 땅임을 강조 ... ‘구리대교’는 숙원사업
-고덕대교 주장은 서울시의 뻔뻔하고 지역 이기주의적인 발상
[도의회=구리남양주시민의소리] 경기도의회 이은주 의원(구리시 제2선거구)은 16일에 열린 경기도의회 제367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언제까지 서울 중심 명칭을 쓸 것인가?”라는 주제로 「포천~구리~안성~세종」 간 고속도로에 한강을 횡단하는 다리의 이름을 ‘구리대교’로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전 10시에 단상에 오른 이 의원은 “ 저는 오늘 구리시 토평동에서 서울 강동구 고덕동을 잇는 새로운 한강 교량의 명칭을 ‘고덕대교’로 불러야 한다는 서울시의 주장을 전면 반박하고, 경기도가 구리시와 함께 ‘구리대교’ 명명을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주시기를 바라 이 자리에 섰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은주 의원의 발언 요지를 요약하면 “▲ 서을 강동구에서 주장하는‘고덕대교’라는 명칭은 공사 진행의 편의를 위해 시행사가 임시로 붙인 이름에 불과하다. ‘미사대교’가 공사 당시에는 ‘남양주대교’로 불렸고, ‘구리암사대교’가 개통 전 ‘암사대교’로 불린 것과 같다. ▲ 다리 이름은 오는 6월 말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최종확정하나 임시명칭의 친숙성이나 공사 시점의 위치보다는 교량이 가지는 상징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 이 다리는 약 2km로 전체 길이의 87%가량이 구리시 관할 공유수면에 속하기에‘구리대교’가 지역 상징성을 반영하는데 더욱 적절하다고 판단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은주 의원은 “ 이미 구리시는 서울 강동구에 두 번이나 명칭을 빼앗겼다. ‘강동대교’와 ‘구리암사대교’가 그것이다. 구리시는 과거 ‘구리암사대교’를 ‘구리대교’로 명명하려 했지만, 서울시의 강한 반대로 결국 구리와 암사 지명 모두를 넣는 방안으로 서울시에 양보해야만 했다. 따라서 임시명칭일 뿐인 ‘고덕대교’가 익숙하므로 공식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지난 두 번의 양보도 외면한 서울시의 뻔뻔하고 지역 이기주의적인 발상이라고 밖에 없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구리대교’ 명칭의 문제는 구리시만의 일이 아니라 경기도의 정체성을 서울에 빼앗기는 중대한 사안으로 여기며 ‘구리대교’ 명명을 위한 움직임에 경기도가 다 함께 관심을 갖고 공동 대응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 다리는 제2의 경부선이라는 별칭을 지닌「포천~세종」고속도로 공사구간 중 14구간인「구리~안성」을 잇는 한강 다리로 사장교 방식으로 세우고 있으며, 2월 현재 공기 83%를 달성하고 있으며, 올 연말이나 내년 초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한강에 33번째로 놓이는 이 다리의 명칭은 시설물이나 지명의 명칭은 관련 법률에 따라 시·도지명위원회와 시·군·구지명위원회의 의견을 종합하여 국토지명위원회에서 결정하게 돼 있어 구리시와 강동구가 다리 이름을 두고 서로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구리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12월 14일부터 20만 구리시민 서명운동에 들어가 한 달 만에 3만 5천명이 서명했으며, 3월 현재 6만명이 넘게 서명을 마치고 반드시‘구리대교’로 명명하자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